가장 먼저 노화가 시작되는 신체부위 눈입니다.
노안이 오면 치매도 올 수 있다고 합니다.
노안 막을 수 있고 좋아 질 수 도 있습니다.
눈이 자외선에 노출되면 활성산소의 영향을 많이 받아 노화가 빨리 옵니다.
외출시 선글라스를 사용하여 눈을 보호해 주시면 좋습니다.
(선글라스도 코팅이 벗겨지면 바꿔 줘야 합니다.)
노안 진단 방법
1 현재 40세 이상이다.
2 가까운 곳과 먼곳을 볼 때 초점이 잘 안 맞고
뿌옇게 보인다
3 책 읽을 대 두통, 어지럼증 증상이 있다.
4 시야가 흐리고 불쾌감이 있다.
5 스마트폰 글자를 기본보다 크게 설정했다.
6 휴대폰, 신문을 볼 때 갈수록 거리가 멀어진다.
1개는 가능성, 3개이상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천원짜리 지폐로 하는 노안테스트
지폐를 5cm에서 시작하여 점점 멀리 떨어지게 하는데
'한국은행 총재' 글씨가 가장 잘 보이는 위치를 측정합니다.
엄지의 제왕에서 알려주는 누구나 찾아오는 노안 극복법
노안 극복 가능하답니다. 수정체 근육을 강화하면,
바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3분 눈 운동법
1단계, 4초에 1번씩 눈을 깜빡여 줘서 눈을 촉촉하게 해 줍니다.
2단계, 초점을 맞추는 운동입니다.(1분 3회)
눈앞에 검지를 10초간 응시합니다. (검지 지문 응시)
먼 곳을 10초간 응시합니다.(5m 이상 먼 곳)
3단계, 빛을 이용한 명암운동입니다.
손을 비벼 따뜻하게 한 후 눈을 가려 줍니다.
10초간 가렸다가 열어줍니다. (눈은 뜬 상태 유지)
눈에 필요한 필수 영양소
1. 루테인이 풍부한 깻잎, 노안을 막는데 좋은 식품입니다.
일일 하루 섭취 권장량 깻잎 25장(20g) 생으로 드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초간단 깻잎 소스, 깻잎 페스토 만드는 방법
재료 : 깻잎 약 30장, 볶은 호두 1컵, 마늘 두 톨, 올리브오일 1컵, 치즈 가로 7큰술
만드는 방법 : 재료를 넣고 믹서에 갈면 완성!
예방하고 회복 하는 법
떨어진 시력 다시 찾을 수 있답니다.
80세까지 돋보기 없이 살 수 있는 비결
노안을 막는 비법은 발에 있답니다.
노안을 막는 첫번째 방법
우리 몸의 뿌리 오장육부를 자극하는 발 건강 도인술
노안 막아주는 발 도인술 진단법이자 치료법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을 앞뒤로 비비듯 움직입니다.(20회정도)
노안을 막는 발 도인술 발 경락 자극법
1. 엄지부터 새끼발가락까지 손가락으로 한 발가락당 30회씩 비벼줍니다.
2. 용천혈을 누르면서 위로 밀어 올리기(10~20회)
3. 엄지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쭉 잡아당기기
4. 발바닥을 쫙 편 상태에세 손바닥으로 20회 발바닥 비비기
5. 한 손으로 발목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발등 잡고 돌리기(양쪽 10회씩)
노안을 막는 두번째 방법
가지를 살리는 눈 건강 도인술 3단계
천연 원 적외선 찜질
양손을 비벼 열을 올려 줍니다. (닭똥 냄새 날 때까지)
그러면 손에 천연 원적외선이 생성됩니다.
눈을 그대로 덮어줍니다.
눈을 지긋이 눌러줍니다.
안구 돌리기
안구를 위 아래로 3번 돌립니다.(머리는 고정)
안구를 좌우로 3번 반복합니다.
투명 아크릴판에 있는 숫자에 촛점을 맞추고
8자운동을 합니다.(처음에는 멀리, 최대한 가까이로, 5분정도)
눈이 밝아지는 혈자리
1. 태양혈 지압(관자놀이 위치)
2. 양백혈 지압(눈의 검은자를 기준으로 눈썹 위)
눈을 밝게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3. 사백혈 지압(눈 아래 광대뼈자리 위치)
누르면 눈이 촉촉해지고 코가 뻥 뚫리는 효과
눈물이 많이 나오게 도와주고 눈을 맑고 밝게 하는 효과
눈물이 마르는 것을 예방합니다
4. 완골혈지압
눈에도 좋고 치매예방에 좋습니다.
네가지 혈을 지압후 마무리로 양손 손가락을 모으고
눈 주위 뼈에 대고 10초정도 지그시 누릅니다.
이상 엄지의 제왕 누구나 찾아오는 노안 극복법 이었습니다.
'몸 건강(BODY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수의 비법 황금알] 과일 알고 먹어야 약 된다 (0) | 2016.11.01 |
---|---|
생강차 끓이는법!! 겨울에 좋은 생강의 효능, 저렴한 생강가격 (0) | 2016.10.29 |
[먹거리X파일] 명품 토굴새우젓의 실체 (0) | 2016.10.23 |
남원 내기마을, 주민 중 20%가 암, 아스콘공장이 원인? (0) | 2016.10.21 |
실내 흡연, 공동주택 입주민 피해방지 제도 마련 (0) | 2016.10.19 |